전체 글 118

엘리퀴스 (Eliquis) : Apixaban

엘리퀴스 (Eliquis) : Apixaban오늘의 약은 엘리퀴스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꽤 많은 환자들이 복용하는 약이기도 합니다. 최근에 엘리퀴스가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왜냐하면 미국정부가 엘리퀴스의 약가를 줄이라고 명령을 했기 때문이죠. IRA 라고 하는 인플레이션 감축 정책인데, 이 정책에서 비싸고 대체 불가능한 약들의 가격을 내리라고 협상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말이 협상이지... 안따르면 세금 폭탄을 날리는 그런 정책인데, 이 정책에서 약가를 내릴 약 10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기준은 미국의료보험 Part D 에서 많은 비용을 지출하게 하는 (즉 많이 팔리고 비싼) 약들인데, 그 중에서 1위로 뽑힌게 바로 엘리퀴스입니다. (전체 약 중 제일 많이 팔린약이 아니라 IRA 약가감축 대상중 판매 ..

미국 인플레이션 방지법(IRA)과 의약품 가격 인하. 어떤 약품들의 가격이 내릴까?

미국 인플레이션 방지법(IRA)과 의약품 가격 인하. 어떤 약품들의 가격이 내릴까? 요즘 경기가 심상치 않죠? 유가도 계속 오르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난리가 나고, 게다가 미국 연준은 최근 몇년간 계속 기준금리도 올리고 있네요. 물론 연준은 우리를 괴롭히기 위함이 아니라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조금씩 맞아놔야 나중에 덜 아프기 때문이죠. 미국은 인플레이션 방지를 위해 굉장히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강제적으로 몇 개 약 들의 가격을 내리라고 반 강제를 했습니다. (말로는 협상을 하겠다고 하지만... 안하면 세금과 과징금을 부과하겠다고 하네요) 이 정책의 이름은 Inflation Reduction Act, IRA 라고 불립니다. 직역하면 인플레이션 방지책 입니다. (바이든..

치료제도 백신도 없는 살인진드기의 습격? 어떤 원리로 일어나는 걸까

치료제도 백신도 없는 살인진드기의 습격? 어떤 원리로 일어나는 걸까오늘 재미있는 기사를 봐서 바이오의 눈으로 보고 싶어서 가져왔습니다. 바로 서울신문에 올라온 속보인데요, 기사 제목이 상당히 충격적입니다. 치료제, 백신 없다..!! 살인진드기..!! 듣기만 해도 굉장히 공포스럽죠? 코로나 이후로 다들 신종 질병의 출현에 경계하는 심리를 자극하는 제목이네요. 이렇게 까지 무서워 해야할까?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같이 알아봅시다. 먼저 살인진드기에 대해 알아볼게요. 살인진드기우리가 흔히 살인진드기 라고 알고 있는 종은 주로 작은소참진드기 를 말합니다. 피를 빠는 진드기 중, STFS 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모든 종은 이론적으로는 살인 진드기가 될 수 있습니다. 작은소참진드기는 피를 빨고나면 이렇게 빵빵해지고,..

레켐비(Leqembi) : Lecanemab, 혁신적 치매 치료제일까 단순한 증상억제제 일까

레켐비(Leqembi) : Lecanemab 혁신적 치매 치료제일까 단순한 증상억제제 일까 저번에 예고한 대로 항체 기반 치매 치료제들에대해 분석을 해볼까 합니다. 먼저 레켐비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려구요. 레켐비는 치매 치료제로써 현재 임상3상이 마무리중인 약입니다. 그런데 올해 1월 FDA 에서 고속승인을 받아서 상반기 중으로 출시가 예정되어있습니다. 레켐비를 고속승인 하면서 FDA 관계자는 이런말을 했죠. “This treatment option is the latest therapy to target and affect the underlying disease process of Alzheimer’s, instead of only treating the symptoms of the disease.”..

치매 치료를 위한 항체 신약, 그리고 논문 조작 사태

수명이 길어지면서 우리를 가장 무섭게 하는 병은 치매다. 평균수명이 80대를 훌쩍 넘게되고나서 부터, 우리나라에는 치매 환자가 정말 많아졌다. 치매환자가 한명 발생하면 온 가족이 병 수발을 하게 된다.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환자는 요양시설로 들어가게 된다. 이는 비극이다. 그러나 제대로된 치매약은 계속 없었다 . 치매약이 없는 이유는 딱 하나다. 치매의 발병기작을 모르기 때문. 얼마전 논문 데이터 조작으로 난리났었던 사건이 있었다. 2006년 네이쳐지에 올라온 논문은 "베타 아밀로이드가 알츠하이머의 원인이다" 라는 가설과 근거를 제시했었다. 베타 아밀로이드의 축적이 뇌 조직을 파괴시키고, 이는 알츠하이머로 이어진다는 논문이었다. 이 논문은 널리 받아들여져서, 얼마전까지도 이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은 치매 발..

리피토(Lipitor) : Atorvastatin

리피토(Lipitor) : Atorvastatin 다들 화이자 아시죠? 코로나 백신으로 유명한 제약명가 화이자. 화이자는 '전통적인 제약회사' 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약은 주 성분의 스케일에 따라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화합물약(small molecule drug) / 단백질약(항체, 펩타이드 등) / 세포치료제 제일 처음에 화합물약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약 30년 전 부터는 단백질약이 상용화되기 시작했으며 3년 전 부터는 키트루다를 선두로 세포치료제들이 활발하게 개발중이다. 앞에서 말한 "전통적 제약사"라는 뜻은 화합물 약 부터 개발하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는 회사라는 뜻이다. 화이자는 물론 많은 혁신을 통해 단백질약들도 많지만 원래 화합물약을 정말 잘 만드는 회사이다. 그래서 세상에서 ..

트룩시마 (Truxima) : Rituximab-abbs

트룩시마 (Truxima) : Rituximab-abbs 리툭산이라는 약이 있다. 자가면역질환에도, 암에도 효과가 있는 그야말로 대단함 그 자체인 약이다. 리툭산은 2013년에 유럽특허가 만료되었고, 2016년에 미국 특허도 만료되었다. 장사수완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이야기를 듣자마자 이렇게 말할 것이다. "당장 복제약 만들어. 진행시켜" 바로 셀트리온이 이 일을 했다. 최초의 리툭산 바이오시밀러 by 셀트리온 리툭산은 2022년까지 약 153조 원어치 매출을 올렸다. 1997년 최초 승인 이후로 약 25년간 153조 원을 벌어들인 약이다. 우리가 알기로는 특허는 10년동안만 보장된다. 그런데, 약을 만드는데 10년이 넘게 걸리는데 고작 10년 동안만 독점권을 행사한다? 엥? 이거 완전 손해아니냐? 그래..

리툭산 (Rituxan) : Rituximab

리툭산 (Rituxan) : Rituximab 리툭산은 자가면역질환과 일부 암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이다. 1997년에 non-Hodgkin Lymphoma (NHL)라는 림프종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인정받아 FDA 승인을 받았다. 이후 2006년 류머티스 관절염에 효과가 있음을 승인받았고, 2010년에는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이 입증받았다. 이외에도 다발성 경화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CIDP)등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서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리툭산은 2022년 기준 총매출액이 1280억 달러이다. 한화로 약 153조 원의 매출을 올린 약이다. 최초 승인으로부터 25년간 153조를 벌었다. 연평균 6..

세상에서 제일 잘 나가는 약

세상에서 제일 잘 나가는 약 이 세상에는 수많은 약이 있다. 그리고 그만큼 많은 제약사들이 있다. 우리는 아무 회사나 투자하면 안 된다. 될 놈 한테만 투자해야 한다. 그런데 일개 개미인 우리가 뭘 알겠는가. 솔직히 나는 전공자지만, 앞으로 어떤 약이 잘 될지, 어떤 새로운 기술이 나올지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역사"를 봐야 한다. 지금까지 어떤 약이 잘 팔렸는지, 얼마나 팔렸는지가 핵심이다. 그래서 오늘은 세상에서 가장 잘 나가는 약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누적 매출액 별 순위 세상에서 가장 잘 나가는 약에 대해서 알려면 약의 누적 매출액을 보면 된다. 1위 : 휴미라 Humira 2022년 까지 누적 매출액 1위는 AbbVie 사의 휴미라(Humira)이다. 누적 매출액이 무려 2190 억 달러다...

아달로체 (ADALLOCE) : Adalimumab-bwwd

아달로체 (ADALLOCE) : Adalimumab-bwwd 올해는 삼성 바이오에피스에 중요한 한 해가 될 것 같다. 특히 올해 판매가 들어가게 될 아달로체에게 특히 중요한 한 해다. 아달로체는 휴미라 라고하는 블록버스터 드럭의 바이오시밀러다. 휴미라가 뭐길래 올해가 삼바에게 중요한 한 해일까. 휴미라가 뭐길래 복제약까지 만들어서 팔려고 하는 것일까? 오늘은 휴미라의 위대함에 대해 알아보고, 삼성 바이오에피스가 잘되기를 기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왜냐면 나는 삼바를 많이 사놓았기 때문이다) 휴미라 (Humira) 세계에서 가장 잘 팔리는 항체약은 휴미라다. 지금까지 개발된 항체 신약 중, 누적 판매액 1위가 휴미라다. 휴미라는 20년 동안 2190 억 달러어치가 팔렸다. 한화로는 약 263조 원 어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