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리치 (Skyrizi) : risankizumab
오늘 분석해볼 약은 애브비 사의 스카이리치라고 하는 약 입니다.
2028년이 기대되는 신약 10선 중 7위에 랭크된 약입니다.
https://dueffect.tistory.com/58
2028년 제약시장 예측하기 : Evaluate 지 같이 톺아보기
2028년 제약시장 예측하기 : Evaluate 지 같이 톺아보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드디어 길고 길었던 IRA 약가인하 대상 약품에 대한 연재가 끝났습니다. 때맞춰서 Evaluate 사가 앞으로의 제약바이오 시장
dueffect.tistory.com
스카이리치는 건선과 크론병 등 자가면역질환에 효과가 있는 항체신약입니다.
2019년에 판상건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받아 최초승인된 약입니다.
2022년 매출은 무려 11조원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승인된지 단 3년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벌써부터 인정을 받는 약이라..
상당히 기대가 되네요.
스카이리치의 경제적 가치와 스카이리치의 작용기작을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스카이리치의 경제적 가치
스카이리치의 개발사는 AbbVie 사 입니다.
애브비는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잘 모르는 경향이 있는데,
아마 코로나 백신 개발사가 아니였기때문에 대중의 관심이 좀 덜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AbbVie 사는 너무 중요한 제약사 중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AbbVie 가 바로 그 유명한 항체약 1세대, 항체약의 시대를 열어준 휴미라의 개발사이기 때문이죠.
이런 AbbVie 는 휴미라로 떼돈을 벌었는데, 이제 휴미라는 최초승인된지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는 조상님이라
특허가 만료될대로 다 만료되었고, 바이오시밀러들이 가격을 후려치고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의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죠?
그래서 애브비의 다음 10년을 이끌 약을 골라보자면 아마 스카이리치가 가장 유력합니다.
2022년 애브비사의 총 매출은 58,054,000,000$ 한화 75조정도 됩니다.
이 중 1등이 휴미라이고(21 billion $), 2등이 오늘의 주인공, 스카이리치입니다.
스카이리치는 2019년에 최초 승인되었는데, 3년만에 매출 5,165,000,000 $ 를 달성했는데요,
1년 동안 한화로 약 11조원을 번 괴물신인이라는 말이 나오네요.
전체 애브비사 매출의 50% 정도가 휴미라 + 스카이리치에서 나오고 있는 상황.
곧 휴미라의 점유율은 떨어질 테고, 스카이리치가 그만큼 성장을 해 줘야 애브비사의 미래가 보일 듯..합니다.
스카이리치의 성장가능성
스카이리치는 앞으로의 성장가능성이 굉장히 기대되는 약 중 하나입니다.
스카이리치의 적응증은 현재 허가받은 것만해도 3종입니다.
판상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이렇게 3 종입니다.
모두 자가면역 질환이죠?
다들 제 블로그를 정독하셨다면 어느정도 감 잡으셨겠지만,
많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들은 적응증이 굉장히 많습니다.
건선치료제가 크론병도 치료하고, 류마티스도 치료하고 이런식인데,
스카이리치는 아직 최초승인된지 단 3년밖에 안 되었고,
2022년에 들어서야 두 번째, 세 번째 적응증에 대해 허용받았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적응증에 효과가 있음을 임상으로 입증하고 나면, 그 만큼 시장의 넓이가 더 커지고 매출도 늘어나겠죠?
당장 2023년 매출은 더 큰 폭으로 커질게 예상됩니다.
실제로 Evaluate 지는 2028년이 되면 스카이리치의 매출이 $ 15~20 billion 정도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약 3~4배 성장이니 30~50조원 정도를 벌 수 있게 된다는 말이겠죠?
Evalute 지가 앞으로의 적응증 확대를 감안하고 예측을 내놓은 것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적응증의 폭발적 확대가 기대되는 약 중 하나입니다.
그럼 스카이리치가 어떤 원리로 자가면역질환들을 치료하는지 한번 보겠습니다.
스카이리치의 작용기전
스카이리치의 원리는 일반적인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제와 상당부분 결을 같이 합니다.
자가면역질환의 의미
다시한번 자가면역질환이 무엇인지 살펴볼게요.
자가면역질환은 "자가 + 면역", 즉 내 면역계가 내 몸을 공격하는 병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여전히 과학자들이 알아내는 중이지만,
원인을 아직 모르니 해결은 "현상"을 해결하는 쪽으로 치우져있습니다.
내 면역계가 내 몸을 공격해서 내가 아프다면,
내 면역계의 힘을 약화시키자
이것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들의 공통적인 원리입니다
스카이리치의 원리
면역계는 항상 일하는 것은 아닙니다.
평소에는 조용히 있다가 일하라는 명령을 받으면 활성화됩니다.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들을 통틀어서 Cytokine 사이토카인이라고 합니다.
스카이리치는 사이토카인 중 IL-23 이라는 단백질의 역할을 방해합니다.
IL-23 은 Interleukin중 23번 입니다.
inter+leukin 에서 leukin 은 leukocyte 즉 백혈구 등의 림프구를 통칭하는 말이죠.
즉 IL23은 림프구를 활성시키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IL23은 IL23 receptor(IL-23R) 에 의해 인식됩니다.
IL23의 수용체는 사실 IL-23R + IL-12Rb1 heterodimer 인데 어려우니 그냥 IL-23R 이라고만 알아두세요
림프구는 IL-23R 을 갖고 있는데, 여기에 IL-23이 붙으면 림프구가 활성화되고
면역계가 일을 하게 되는 것이죠.
우리의 약 스카이리치의 활성성분은 risankizumab 이라는 항체입니다.
이 항체가 IL23에 붙어서 IL-23R 과 결합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즉 IL23 - IL23R 이 붙으면 자가면역질환 증상이 심해지기때문에,
IL23 - risankizumab(스카이리치) 가 붙어서 자가면역 질환의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습니다.
결론적으로 스카이리치의 작용기전을 정리하면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물질인 IL23에 붙어서,
면역계활성화를 억제해 자가면역질환의 증상을 완화한다.
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IL23의 역할
이제 좀 더 과학적인 이야기를 해 볼께요.
어려운 파트니 바쁘신 분들은 패쓰해도 되지만, 애브비가 왜 대단한 회사인지 알 수 있는 파트입니다.
사이토카인의 종류는 interluekin 뿐만 아니라 CXCL, interferon 등등 수도 없이 많은데,
왜 애브비사는 하필 IL23을 저해하는 항체를 만들었을까요?
이걸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 면역계의 작용에 대해 한번 생각해봐야합니다.
지금 보이시는 이 그림은 우리몸의 면역계에 속해있는 많은 림프구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게 다가 아니라 각 세포들은 그 안에 또 다른 subtype 들을 다 갖고 있습니다.
이 중에 T lymphocyte 보이시죠?
얘가 바로 우리가 중,고등학교때 배우는 T 세포입니다.
T세포는 직접적으로 세포를 죽이는 cytotoxic T cell(세포독성 T세포) 와 helper T cell (보조 T세포) 로 또 나뉩니다.
여기서 오늘은 helper T cell 에 집중해 볼 게요.
이 보조 T 세포는 다른 면역세포들에 앞서 활성되어서,
다른 세포들에게 일어나서 일 하라는 명령을 내려주는 세포입니다
이 보조 T세포 중 하나가 Th17 이라는 세포인데, 얘가 아주 중요한 면역계의 조절자 중 하나입니다.
이 Th17 세포를 일깨우는 사이토카인이 바로 IL23입니다.
IL23이 Th17 세포를 일깨우고나면,
Th17 세포가 IL-17, IL-21, IL-22 등의 다른 종류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면서 다른 종류의 면역세포를 깨우는 것이죠.
그러니까 Th17 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다면, 다른 잡다한 세포들을 막을 필요없이 쉽고 빠르게 면역계를 다시 잠재울 수 있기 때문에 IL23 을 선택한 것입니다.
IL-23, 굉장히 매력적인 타겟이죠?
그래서 스카이리치 이외에도 많은 약들이 IL23 을 타겟팅하고 있습니다.
스테라라, 트렘피아, 일루미아 등이 있습니다.
특히 스테라라는 이번 IRA 철퇴를 맞은 약 중 하나인데,
그 원리가 되게 과학적이고 좋아서 제가 이미 분석한 적 있습니다.
https://dueffect.tistory.com/57
스테라라 (Stelara) : Ustekinumab
스테라라 (Stelara) : Ustekinumab 안녕하세요. 이오형입니다. 드디어 IRA 약가인하 대상약물 분석 연재의 마지막 스테라라분석 시간이네요. (스테라라, 스텔라라, 스테랄라.. 뭐가 맞나요..) 정말 재밌
dueffect.tistory.com
관심있으신 분들은 이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결론적으로 IL23의 역할을 정리하자면,
면역세포들을 깨우는 면역세포인 Th17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IL23 이다.
그래서 IL23의 차단은 면역계를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스카이리치 요약
여기까지해서 오늘은 자가면역질환에 효과가 있는 항체신약인 스카이리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승인 3년만에 매출 11조, 앞으로 적응증의 확대에 힘입어 더 큰 성장을 보여줄 미래가 기대되는 신약이었습니다.
IL-23 이라는 매력적인 타겟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많은 자가면역 질환 증상을 완화하고,
애브비사의 미래를 책임져 줄 약 스카이리치.
오늘 포스팅을 보고 관심이 생기셨다면 애브비사 주식 한번 살펴보시는 것 어떠실까요?
*이 글은 상품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바이오주식 > 상품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다실9 (GARDASIL-9) : Human Papillomavirus 9-valent Vaccine, Recombinant (1) | 2023.12.17 |
---|---|
빅탈비(biktarvy) : Bictegravir, emtricitabine, tenofovir alafenamide (0) | 2023.12.16 |
옵디보(Opdivo) : Nivolumab (2) | 2023.11.23 |
다르잘렉스 (Darzalex) : Daratumumab (0) | 2023.11.21 |
듀피센트 (Dupixent) : Dupilumab (3)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