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타그비(AMTAGVI) : Lifileucel
- 최초의 T 세포 치료제
안녕하세요 여러분.
다양한 바이오신약을 과학의 눈으로 분석하는 이오형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2024년 FDA에 승인된 신약들을 분석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제 블로그를 읽으신 분들은 모두 1,2,3세대 약 구분에 익숙하실텐데요,
오늘은 3세대 약 중에서도 또 한 단계 혁신을 이룬 약인
암타그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어떤 혁신을 이루었는지,
기존 약들과 어떤 차별점을 가지는지,
어떤 병을 치료할 수 있는지,
효과는 어떠한지 등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3세대 약, 세포치료제
3세대 약은 (제 기준) 세포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mRNA 백신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중 세포치료제는 우리 몸의 세포를 뽑은 뒤, "유전자 조작" 을 거쳐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게 만든 치료제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들을 세포-유전자 치료제라고도 불렀습니다.
CAR-T cell 치료제도 그렇고,
얼마전 승인받은 TCR 변형 세포치료제인 테셀라(Tecelra)도 그렇습니다.
그런데, 오늘 볼 암타그비는 어떠한 유전자 변형과정도 없이,
환자의 종양에서 유래한 면역세포를 뽑아서 그대로 사용합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정말 진정한 세포치료제인 것이죠?
심지어 대부분의 세포치료제는 혈액암을 타겠하는데,
암타그비는 불가능의 영역으로 여겨지던 고형암(흑색종)을 타겠하는 두 번째 약입니다.
어떻게 유전자 변형없이,
어려운 분야인 고형암치료를 가능하게 만들었을까요?
암타그비 (AMTAGVI)란
암타그비는 Iovance Biotherapeutics 라는 작은 회사에서 개발한 약입니다.
주성분은 Lifileucel입니다.
암타그비는 유전자 조작 과정없이 환자의 TIL이라는 세포를 뽑아서 암 치료에 사용합니다.
TIL이란?
그렇다면 TIL이 무엇이길래,
복잡한 유전자 조작과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일까요?
TIL은 Tumor-Infiltrating Lymphocyte의 줄임말입니다.
한국어로 직역하면 종양 투과 면역세포입니다.
원래 면역세포들은 고형암 내부로 뚫고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바로 tumor microenvironment (종양미세환경) 때문입니다.
종양미세환경때문에 면역세포들이 암을 직접 공격하러 들어가기 어려웠고,
들어간다 하더라도, 그 안에서 기능을 잃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그래서 최초의 세포치료제들은 고형암이 아닌 혈액암 치료에 사용되었었고,
얼마 전 최초로 고형암 치료 세포치료제(Tecelra)가 만들어졌을때도
혁명적이라고 평가했던 이유가 이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종양 조직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면역세포가 있습니다.
이들이 바로 TIL입니다.
여러 악조건을 헤치고 몸이 스스로 만들어낸 세포이기 때문에,
암세포를 식별하고 공격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상태 그대로의 TIL은 암세포를 완전히 제거하기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충분했다면 이미 암이 발생하지도 않았겠죠?)
그래서 오늘의 약인 AMTAGVI는 TIL을 체외에서 대량 증식하여 환자에게 주입함으로써
TIL이 갖는 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암타그비 치료 과정
위에서 말한 이유들로 암타그비는 유전자 조작과정이 필요 없어서,
환자에게서 채취한 뒤,
증폭과정만 거쳐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종양 조직 채취
암 환자의 종양 조직을 수술로 제거 - TIL 분리 및 배양
종양에서 TIL을 분리 -> 체외에서 세포 활성화&대량증식 - 환자 체내 주입
배양된 TIL 주입 -> 암세포를 직접 공격
이때 TIL은 환자 개인의 면역 체계를 기반으로 환자가 스스로 만들어 낸 것이기 때문에 맞춤형 치료의 장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TIL 기반 치료는 암세포의 돌연변이에도 대응할 수 있어 효과적입니다.
암타그비의 효과
암타그비는 현재 임상 2상까지 진행된 뒤, FDA의 쾌속승인을 받은 약입니다.
3상은 현재 진행중이며, 3상까지 성공하면 정식승인을 받게 되겠죠?
AMTAGVI는 흑색종 중, 기존 치료법으로 효과가 없는 진행성 흑색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약입니다.
이 진행성 흑색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 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4년 동안 추적한 결과, 환자의 21.9%가 생존했습니다.
기존 세포치료제 VS 암타그비
기존 세포치료제에 비해 암타그비는 굉장히 독특한 특징을 가집니다.
1) 유전자 조작이 필요없다는 점
2) 고형암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
입니다.
이 중, 유전자 조작이 필요없다는 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세포치료제들은 모두 유전자 조작과정을 거친 세포를 이용했는데,
암타그비는 환자 유래 세포를 강화만 시킨 뒤 사용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기존 세포치료제는 군사에게 혈청을 맞춰 슈퍼히어로로 만들었다면,
암타그비는 엘리트 군사들만 뽑아 복제한 뒤, 전장으로 내보낸 느낌입니다.
기존 세포치료제들은 성분명이 다 아주 길었던 것 기억하시죠?
TECELRA의 주성분은 afamitresgene autoleucel
ABECMA의 주성분은 idecabtagene vicleucel
이런식이었는데,
AMTAGVI의 주 성분은 lifileucel 로 아주 짧습니다.
특히 위의 긴 이름들의 뒤쪽부분과 유사하게 -leucel 형태로 끝나는것 보이시죠?
이름이 짧은 이유는 유전자 조작과정이 없어서 앞쪽의 명명자가 필요 없기 때문이고,
뒤쪽의 -leucel은 세포를 의미합니다.
이 세포가 바로 TIL입니다.
AMTAGVI의 의의
AMTAGVI는 진정한 의미의 고형암 치료를 위한 최초의 세포치료제입니다.
이는 암 면역치료 분야에서
1) 유전자 조작 없이도 효과를 낼 수 있음
2) 고형암 치료가 가능함
을 보였다는 점 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합니다.
지금은 흑색종뿐 이지만, 나중에는 더 대중적인 고형암 치료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암타그비의 성공은 암과의 싸움에서 과학이 얼마나 진보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암타그비 정리
최초로 유전자 조작없이, 환자 유래 면역세포를 증폭시키는 방법만으로도 고형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약.
고형암 + 유전자 조작 없음 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짐.
요즘 세포치료제 분야가 아주 빠르게 진보하고 있음이 느껴집니다.
CAR-T 세포 치료제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https://dueffect.tistory.com/85
바이오제약 신기술 - CAR T 세포 치료제
바이오제약 신기술 - CAR T 세포 치료제 안녕하세요 여러분 미국 빅파마가 주목하는 바이오제약 신 기술 분석을 하고 있는 이오형입니다. 지금까지 mRNA 백신과 GLP-1 약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는데,
dueffect.tistory.com
TCR 조작 세포 치료제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https://dueffect.tistory.com/119
테셀라(Tecelra) : afamitresgene autoleucel - 최초의 TCR 계열 고형암 세포치료제
테셀라(Tecelra) : afamitresgene autoleucel - 최초의 TCR 계열 고형암 세포치료제 안녕하세요 여러분다양한 바이오 신약을 과학의 관점으로 분석하는 이오형입니다. 오늘은 테셀라(Tecelra) 라고 하
dueffect.tistory.com
감사합니다.
지구상의 모든 병이 치료되는 그 날까지 이오형은 계속 분석하겠습니다.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바이오주식 > 상품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리베어(WINREVAIR) : sotatercept - MERCK사는 PAH시장을 먹을 수 있을 것인가 (0) | 2025.02.09 |
---|---|
베크베즈(Beqvez) : fidanacogene elaparvovec - 혈우병 유전자 치료제 (2) | 2025.01.02 |
테셀라(Tecelra) : afamitresgene autoleucel - 최초의 TCR 계열 고형암 세포치료제 (2) | 2024.12.24 |
빌로이(Vyloy) : zolbetuximab - astrella 사의 새로운 위암 표적치료제 (claudin) (1) | 2024.12.17 |
크레손트(CREXONT) : carbidopa and levodopa - 파킨슨병 치료제의 원리 (4)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