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주식추천 5

유한양행 신고가 달성의 비결, 신약 렉라자(Leclaza) : Lazertinib

유한양행 신고가 달성의 비결, 신약 렉라자 : Lazertinib  안녕하세요 여러분. 바이오 신약을 과학의 눈으로 분석하는 이오형입니다.  최근 우리나라 바이오 주식들이 꿈틀거리는 경향이 보이네요. 몇 가지 뉴스들이 있는데, 가장 제 눈을 사로잡은건 바로 유한양행과 대웅제약입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가파른 주가상승세를 보이는 유한양행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유한양행은 우리나라 Top5 안에 드는 제약회사이죠? 우리나라 바이오 주 중 가장 유명한 셀트리온이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시밀러, 즉 항체약 중 특허가 만료된 것의 복제약을 만들어서 돈을 번다는 것을 전략으로 두고 있습니다.(물론 셀트는 신약개발도 하고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유한양행은 화합물 기반의 신약을 자체개발하고 있고, 이게..

Yescarta와 Tecartus

Yescarta & Tecartus Axicabtagene ciloleucel, Brexucabtagene autoleucel 안녕하세요 여러분. CAR-T 세포치료제를 순차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이오형입니다. 오늘은 Gilead Science사의 CAR-T 세포치료제 두 개를 분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Gilead Science 라는 회사는 처음 들어보는 분들도 많을건데요, 항바이러스 부문에서는 정말 잘나가는 회사 중 하나입니다. 다음번에는 Gilead 포트폴리오 분석도 같이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길리어드 사이언스 사는 6개의 승인된 CAR-T 세포치료제 중, 무려 2개나 갖고 있습니다. 바로 Yescarta 와 Tescartus인데요, 이 둘은 CAR는 같은데 세포종이 다른 치료제라고 생각해..

GSK : 백신명가는 다시 비상 할 수 있을까?

GSK : 백신명가는 다시 비상 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2028년 더 잘 나가게 될 제약회사 10선 연재를 "일라이 릴리"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멋진 10개 제약회사가 궁금하신 분들은 이 포스팅 참고해 주세요. https://dueffect.tistory.com/58 2028년 제약시장 예측하기 : Evaluate 지 같이 톺아보기 2028년 제약시장 예측하기 : Evaluate 지 같이 톺아보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드디어 길고 길었던 IRA 약가인하 대상 약품에 대한 연재가 끝났습니다. 때맞춰서 Evaluate 사가 앞으로의 제약바이오 시장 dueffect.tistory.com 예측하기로 2028년 상위 10개 제약회사이 노보 노르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새롭게 순위권으로 들게 될 듯..

아스트라제네카 AstraZeneca : 야망넘치는 영국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 AstraZeneca : 야망넘치는 영국 제약회사 안녕하세요. 이오형입니다. 오늘은 2028년 더 잘나가게 될 빅 파마 연재의 7번째, 아스트라제네카 분석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우리나라 사람이면 모를 수가 없습니다. 얼마 전 코로나 사태 때, 모두가 백신을 맞았으니까요. 당시 코로나 백신하면 화이자, 모더나 그리고 아스트라제네카가 대부분이었기때문에, 다들 이름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코로나 백신은 아무나 개발하나요?그렇지 않습니다. 기반기술이 있고 자본력이 있는 회사들만 개발할 수 있습니다.  즉 아스트라제네카는 코로나 백신으로 유명해 졌지만, 그 전에도 상당히 탄탄한 포트폴리오를 가진 회사였습니다.  오늘은 아스트라제네카의 간단한 역사를 본 뒤, 경제적 가치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이후 아..

파륵시가(Farxiga) : Dapagliflozin

파륵시가(Farxiga) : Dapagliflozin 오늘은 파륵시가 라는 당뇨치료제에 대해 분석해 보겠다. 파륵시가는 아스트라제네카에서 개발한 약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해 아는 사람이 거의 없었는데, 코로나 시국을 거치고 나서는 인지도 1등이 되버렸다. 사실 당뇨시장에서 아스트라제네카가 아주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워낙에 쟁쟁한 경쟁사들이 많기도 하고.. AZ가 만든 당뇨 치료제 중, 시장에서 유의미한 점유율을 보이는 건 파륵시가 뿐이고, 다양한 군의 당뇨병 치료제가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아스트라제네카는 돈도 많고, 인지도도 높아졌으니 연구개발비를 더 늘리지 않을까...? 그러면 곧 당뇨병 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