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플레이션 방지법(IRA)과 의약품 가격 인하. 어떤 약품들의 가격이 내릴까?
미국 인플레이션 방지법(IRA)과 의약품 가격 인하.
어떤 약품들의 가격이 내릴까?
요즘 경기가 심상치 않죠?
유가도 계속 오르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난리가 나고,
게다가 미국 연준은 최근 몇년간 계속 기준금리도 올리고 있네요.
물론 연준은 우리를 괴롭히기 위함이 아니라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조금씩 맞아놔야 나중에 덜 아프기 때문이죠.
미국은 인플레이션 방지를 위해 굉장히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강제적으로 몇 개 약 들의 가격을 내리라고 반 강제를 했습니다.
(말로는 협상을 하겠다고 하지만... 안하면 세금과 과징금을 부과하겠다고 하네요)
이 정책의 이름은 Inflation Reduction Act, IRA 라고 불립니다.
직역하면 인플레이션 방지책 입니다.
(바이든 정부가 굉장히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이 정책의 일환으로 건강보험료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약들의 가격을 내리라고 명령을 내렸습니다.
지금당장은 아니고 몇 년 간의 협상을 통해서 가격을 조율한 다음, 2026년 1월 1일부터 인하를 시작합니다.
모든 약들은 아니고 10개의 약에 대해 이를 시행했습니다.
일단 리스트 들을 볼게요.
가격 인하 리스트
출처는 백악관 Factsheet 입니다.
우리는 주가 분석해야하니, 한국어로, 회사이름 까지 넣어서 다시 정리해 보면 이렇습니다.
가격은 billion 단위로만 간단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10개의 의약품 중 몇 개는 제가 이미 정리했던 약품들이죠?
대부분은 화합물 약이네요.
기업들은 다들 우리가 한번쯤은 다 들어본 회사들입니다.
제가 너무 좋아하는 노보 노르디스크, 일라이 릴리도 있고,
백신으로 대중들에게 유명해진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도 있습니다.
암젠, 얀센, 머크 등도 있고, IPO 를 안한 회사들도 보입니다.
의약품 가격인하와 바이오 주가
그렇다면 우리에게 이 의약품 가격인하소식은 어떻게 작용할까요?
1. 우선 저 회사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 악재
의약품 개발과 생산 파이프라인을 만드는데 막대한 돈이 들죠.
이후에 이걸 계속 독점 판매를 하면서 수익이 나는데, 의약품 가격을 내려라?
결국 수익률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2026년 1월 1일부터 가격인하를 하라고 하는데, 이는 장기적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 저 약들의 복제약을 만드는 회사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 악재 or 호재
사실 호재가 될지 악재가 될지 정확히는 예측하기 어렵네요.
26년부터 오리지널 약품의 가격이 내려간다...
그러면 복제약이 훨씬 저렴해야 사람들이 구매하겠죠?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호재로 작용할 경우는.. 생각을 굳이 해보자면, 저 회사들의 경쟁력 약화..? 정도가 되겠네요.
3.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한국 바이오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 어쩌면 호재
10개 약들의 선정 기준 중 하나가 바로 '일정 기간동안 바이오 시밀러나 복제약이 개발되지 않은 약' 이었습니다.
그렇다면 그 이후로 바이오 시밀러가 개발이 된다면..?
또는 추가 가격인하 약품으로 선정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바이오 시밀러 시장이 커진다면..? 하는 예측을 해볼 수 있습니다.
(자회사를 직접 만들어 바이오 시밀러를 팔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4.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블록버스터 드럭 보유회사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 매우 호재?
기준 중 하나가 복제약을 갖고 있지 않은 의약품 이었습니다.
그래서 잘 팔리는 약인데도 복제약이 많이 개발된 경우라면?
이 제재로 인해 피해가 없을 것입니다.
물론 대형 제약사들이 10개 리스트에 거의 다 있는것 같긴한데,
각 회사에서 저 약들이 차지하는 매출액의 비중을 봐야 그 기업에 호재일지, 악재일지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어쨋든 바이오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참 아이러니한 소식입니다.
저렴하게 약을 구매할 수 있지만, 동시에 주가에 큰 악영향을 미칠게 뻔하니까 말이죠.
오리지널 기업들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새로운 회사들이 뜨게 될지
아니면 이런 규제에도 아랑곳 하지않고 더 커질지, 또는 더 교묘하게 법을 빠져 나갈지 궁금해 지네요.
저 발표가 8월 29일 미국시간으로 아침에 발표가 되었습니다.
그 날을 기점으로 주가들이 어떻게 움직였는지도 차차 분석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저 약들의 회사들은 이미 소송 준비에 들어가고 난리난리가 났습니다.
바이오 소송쪽은 잘 모르지만 이번 기회에 준비해서 공유해드리면 좋을 것 같아서 시도 해보겠습니다.
가격인하대상 의약품 MoA 분석
일단 저 약들에 대해 알면 좋겠죠?
다시 연재를 시작합니다.
기존에 분석이 완료되었던 약들은 링크만 걸어놓겠습니다.
1. 엘리퀴스 Eliquis
https://dueffect.tistory.com/52
엘리퀴스 (Eliquis) : Apixaban
엘리퀴스 (Eliquis) : Apixaban 오늘의 약은 엘리퀴스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꽤 많은 환자들이 복용하는 약이기도 합니다. 최근에 엘리퀴스가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왜냐하면 미국정부가 엘리퀴
dueffect.tistory.com
2. 자디안스 Jardiance
https://dueffect.tistory.com/32
자디안스 ( Jardiance ) : Empagliflozin
자디안스 ( Jardiance ) : Empagliflozin 오늘은 새로운 군의 당뇨치료제, SGLT2 inhibitor 군 중에서 제일 잘 팔리는 자디안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Introduction 오늘 분석할 약은 자디안스다. 자디안스(Jardiance)
dueffect.tistory.com
3. 자렐토 Xarelto
https://dueffect.tistory.com/53
자렐토 (Xarelto) : Rivaroxaban
자렐토 (Xarelto) : Rivaroxaban 오늘의 상품은 자렐토입니다. 자렐토는 얀센 (Janssen) 사에서 개발한 혈전방지, 관상동맥 관련 질환 치료제입니다. 이번 미국 IRA 조치에 의해서 가격 인하를 강제당하고
dueffect.tistory.com
4. 자누비아 Januvia
https://dueffect.tistory.com/34
자누비아 (Januvia) : Sitagliptin
자누비아 (Januvia) : Sitagliptin 오늘 부터는 또 다른 군의 당뇨 치료제인 DPP-4 inhibitor들을 보겠다. 2010년대에는 판매율 1위를 하기도 했던 군의 약인데, 최근에는 그 정도는 아니다. 오늘은 MERCK사에
dueffect.tistory.com
5. 파륵시가 Farxiga
https://dueffect.tistory.com/33
파륵시가(Farxiga) : Dapagliflozin
파륵시가(Farxiga) : Dapagliflozin 오늘은 파륵시가 라는 당뇨치료제에 대해 분석해 보겠다. 파륵시가는 아스트라제네카에서 개발한 약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해 아는 사람이 거
dueffect.tistory.com
6. 엔트레스토 Entresto
https://dueffect.tistory.com/54
엔트레스토 (Entresto) : Sacubitril / Valsartan
엔트레스토 (Entresto) : Sacubitril / Valsartan 오늘의 약은 엔트레스토 입니다. 두 가지 성분이 혼합된 칵테일요법 약인데요, 심장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입니다. 노바티스 사에서 개발한 약이고, 20
dueffect.tistory.com
7. 엔브렐 Enbrel
https://dueffect.tistory.com/55
엔브렐 (Enbrel) : Etanercept
엔브렐 (Enbrel) : Etanercept 오늘 분석할 바이오의약품은 엔브렐입니다. 엔브렐은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치료에 사용되는 약입니다. 경제적 가치는 1년에 6.6조원 정도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2022)
dueffect.tistory.com
8. 임브루비카 Imbruvica
https://dueffect.tistory.com/56
임브루비카 (Imbruvica) : Ibrutinib
임브루비카 (Imbruvica) : Ibrutinib 미국 IRA조치에 의해 약가인하가 결정된약, 임브루비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다른 약가인하 대상 약물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https://dueffect.tistory.com/m/51 미국 인플
dueffect.tistory.com
9. 스테랄라 Stelara
https://dueffect.tistory.com/57
스테라라 (Stelara) : Ustekinumab
스테라라 (Stelara) : Ustekinumab 안녕하세요. 이오형입니다. 드디어 IRA 약가인하 대상약물 분석 연재의 마지막 스테라라분석 시간이네요. (스테라라, 스텔라라, 스테랄라.. 뭐가 맞나요..) 정말 재밌
dueffect.tistory.com
10. 인슐린 제제 ( Novo Nordisk)
이 군에 대해서는 따로 분석할 건 없습니다.
모두 노보 노르디스크사에서 만드는 인슐린입니다.
노보 노르디스크에 대해 궁금하시면 이 링크를 보시면 됩니다.
https://dueffect.tistory.com/37
노보 노르디스크 : Novo Nordisk
노보 노르디스크 : Novo Nordisk 노보 노르디스크라는 회사가 있다. 주식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조금 생소한 회사일 수 있다. 한국 주식도 아니고, 미국 주식도 아니고 우리가 접근하기 어려운 덴마
dueffect.tistory.com
앞으로 약 2~3주간 틈틈히 같이 분석해 볼게요.
동시에 발표 전 후로 바이오 ETF 나 각 회사의 주가흐름, 총 매출액에서의 비중들도 같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